모빌리티원, DSK 2025 참가... 이기종 드론·로봇 통합 운영 플랫폼 및 산업 특화 서비스 소개 나선다!
모빌리티원, DSK 2025서 이기종 드론·로봇 통합 플랫폼 공개
산업별 특화 서비스 및 글로벌 확장 비전 제시

㈜모빌리티원(MOBILITY ONE, 대표 류현욱)은 오는 2월 26일(수)부터 28일(금)까지 부산 벡스코에서 열리는 'DSK 2025'에 참가한다고 밝혔다.
모빌리티원은 드론, 로봇 통합 운용 플랫폼을 기반으로 특화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스타트업이다. 하드웨어 중심의 성장을 거듭하던 드론 시장에서 소프트웨어 기술 발전을 지향하면서, 업계 트렌드 전환과 무인 시스템의 가능성 확장을 추진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 전시에서 모빌리티원은 자사의 이기종 드론·로봇 통합 운영 플랫폼 ‘M1UCS’를 선보인다. 이는 각각의 제조사가 다르거나, 프로토콜이 상이한 무인 이동체를 아울러 통합 운영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이다. 다수의 이기종을 운영, 관리해야 하는 산업 현장에서 복잡성을 크게 줄이고, 이로써 효율성 및 경제성 제고에 이바지할 수 있다.
동시에 모빌리티원은 제공하는 수직이착륙기(VTOL), 고정익 군집 운용 솔루션도 소개할 예정이다. 이는 무인 비행체를 활용한 임무·작업 시간을 대폭 단축하는 데 탁월한 효과를 발휘한다. 특히 대면적 항공·측량 모니터링 작업을 2인 1조로 수행할 경우, 일일 최대 작업량은 100㎢를 웃돌 수 있다고 회사 관계자는 강조했다.
이 외에도 모빌리티원은 △70km 이상의 주요 도로를 실시간 모니터링해 사고의 예방 및 조기 대응을 지원하는 ‘장거리 도로 안전 모니터링’ △드론 영상 객체 시스템과 실시간 3D 공간정보 생성을 아우르는 ‘AI 활용 데이터 분석 서비스’ 등, 고도화된 기술력을 요구하는 산업용 드론 서비스도 제공하고 있으며, 이처럼 다채로운 사업 역량과 경험도 전시 현장에서 함께 알리겠다는 방침이다.
모빌리티원 관계자는 “자사는 지능형 무인 시스템으로 산업 현장의 효율, 안전성을 극대화하는 것으로, 이러한 비전을 실현하기 위해 이기종 드론·로봇 통합 플랫폼과 이를 활용한 산업별 특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라며, “M1USC를 앞세워 국내·외로 부가가치가 높은 서비스 사업을 수주하며 경쟁력을 입증한 만큼, 이번 DSK에서도 자사 기술을 통해 신규 고객 및 네트워크를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라고 밝혔다.
이어 “지난 2024년 국토부 주도로 참여한 남아공 로드쇼를 기점으로, 모빌리티원은 아프리카 야생동물 개체 관리를 위한 대면적 항공 측량 서비스를 현지에 공급하는 방향으로 신규 사업을 추진 중이다”라며, “이를 시작으로 아프리카 대륙에서 고객을 확장하고, 글로벌화에 속도를 낼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10주년을 맞은 드론쇼코리아가 ‘DSK’라는 이름으로 새롭게 도약한다. ‘드론에 대한 모든 것, 드론의 무한한 확장’을 주제로 하는 이번 전시회의 전시 품목은 다음과 같다. ▲드론(농업, 공간정보, 안전/보안, 배송/물류, 건설업, 교통관제 등) ▲로보틱스(무인기, 휴머노이드, 지상/해상 로보틱스, 스마트 팩토리 및 자동화, 센서, 기타 S/W 및 부품 등) ▲미래 항공/모빌리티(UAM/AAM, 버티포트, 지상관제, 운영S/W, 통신, 인증 등) ▲평화 유지/안보(대테러 및 평화 유지를 위한 드론의 활용, 전투체계의 자율화 및 고도화 등) ▲5차 산업혁명(인공지능, 기계학습, 원격/자율주행, 신재생에너지, 지속가능성 등) ▲항공우주(저궤도위성, 원격탐사, 위성항법, 우주발사체, 우주 스타트업, 민간우주 개발사업, 우주 활용 등)